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인류 역사 속의 금과 은

by 월삼백 2024. 11. 21.
반응형

금의 역사

1. 금의 역사
금은 세공이 쉽고 녹슬지 않으며 무엇보다 반짝인다. 이러한 특성 때문인지 금은 장식품을 넘어 인류 경제활동이래 가장 가치 있는 금속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중세시대 대항해시대를 이끌었던 원인 중에도 아시아와 아메리카지역에 금이 넘쳐난다는 근거 없는 환상이 있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금이 흐르는 강이 있다는 믿음이 위험천만한 대륙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럽인에게는 신대륙 개척의 시작이었고 아시아와 아프리카에는 대재앙의 시작인 이 기나긴 역사의 시작의 중심에 금이 있다.

금이 최초로 발견된 것은 기원전 7000 ~ 8000년 전으로 추정된다. 고대의 금은 자연에서 얻는 사금이 대부분이었기에 매우 귀했고 사람들은 가장 반짝이는 금속인 금에 신성한 힘과 상징성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했다. 고대이집트 왕들은 금을 태양과 같은 상징으로 생각했으며 신의 피부조차 금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이후 인류의 경제활동이 점차 발전하면서 화폐가 필요해짐에 따라 누구에게나 귀한 금으로 화폐를 삼기 시작하였다. 로마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금화를 로마의 공식 통화로 만들어 유통시켰으며 중세시대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주조된 금화가 유럽 기축통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후 1816년 영국이 금본위제를 채택하면서 금은 세계적인 공식 화폐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실상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 및 동전은 이 만큼의 금으로 바꿔주겠다는 약속증서다. 세계대전 후 미국이 세계 패권을 잡고 나서도 미국 달러와 금 사이에 교환비율을 설정해 세계 경제통화 기준을 만들었다.

 


금은 이처럼 세계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힘과 부의 상징이 되었다. 이밖에도 다른 금속으로 금을 만들고자 했던 오랜 기간의 연금술 연구는 각종 화학물질을 개발해 내며 과학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2. 은의 역사
은은 금과 함께 화폐로 유통된 대표적인 금속으로 고대에는 오히려 은이 금보다 귀했다. 금은 사금 형태로 얻을 수 있었지만 은은 광석을 가공해야지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금이 태양을 상징했다면 은은 달을 상징했으며 기원전 6,7세기부터 금과 은은 통화수단으로 함께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이 가장 활발하게 사용된 곳은 중세와 근대유럽이다. 이는 유럽에서 중국비단과 도자기를 사기 위해 막대한 양의 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유럽이 신대륙에서 획득한 은은 대부분 중국으로 흘러들어 갔으며 영국은 이를 회수하기 위해 아편전쟁까지 일으킨다.

이처럼 금과 은은 고대 로마시대 때부터 화폐 기능을 했으며 금광이 발견되면 은의 가치가 하락하고 반대로 은광이 발견되면 금값이 하락하는 등 금과 은은 세계 경제 역사에 있어 서로 대체재와 보완대 기능을 하면서 세계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투자와 투기 차이를 정의해보자

 

투자와 투기 차이를 정의해보자

요즈음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등 투자처가 다양해지고 접근하기 쉬워지면서 투자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과연 내가 하고 있는 것이 투자인지 투기인지 돌아보고 올바른 방향을 잡아

month300.korea-1pro.com

반응형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는 AI 때문에 멸망하지 않을까?  (0) 2025.07.27

댓글